티스토리 뷰
목차
최근 서울에서 시범 운영 중인 새로운 소득보장 정책이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 바로 전국민에게 월 8만 원을 주겠다는 단순한 기본소득형 정책이 아니라, 저소득층에게 더 많이, 형편에 따라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소득보장형 복지 정책입니다.
이 정책은 향후 전국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인데요. 오늘은 단순히 ‘돈 준다’로 끝나는 이야기가 아닌, 실제로 저소득층의 삶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, 얼마나 받을 수 있고 어떤 효과가 있었는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.
1. 월 8만 원 기본소득? vs 맞춤형 소득보장제도의 근본적 차이
최근 논의된 기본소득형 정책은 전국민에게 매월 8만 원을 지급하는 형태입니다.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"고소득층에게는 큰 의미가 없고, 저소득층에게는 부족한 금액"이라는 평가를 하고 있습니다.
반면 이번에 주목받고 있는 소득보장형 정책은 다릅니다.
구분 | 기본소득 | 맞춤형 소득보장 |
대상 | 전국민 | 중위소득 85% 이하 |
지급액 | 월 8만 원 | 최대 월 100만 원 |
방식 | 일률 지급 | 소득에 비례한 차등 지원 |
효과 | 소비 진작 | 소득 보전 + 탈수급 유도 |
✅ 핵심: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는 구조
✅ 빈곤선 이하 가구에는 월 40~100만 원의 실질적 추가 소득 발생
2. 정책 구조 – 소득이 적을수록 많이 준다
이 정책은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, 중위소득 85% 이하 가구에게만 부족한 소득의 일부를 보전해주는 방식입니다.
지원 계산 방식:
👉 (기준 중위소득 85% - 가구 실제 소득) × 50% 지원
✅ 예시
-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85% → 약 203만 원
- 실제 소득 120만 원인 경우
- 차액 83만 원의 50%인 약 41만 5천 원 지원
이처럼 저소득층일수록 지원액이 늘어나는 하후상박형 지원체계입니다.
3. 서울형 시범사업 결과 – 놀라운 탈수급 효과
이미 서울에서는 이 정책을 2076가구에 시범 적용 중입니다.
항목 | 시범사업 효과 |
근로소득 증가 | 참여자의 31.1%가 근로소득 증가 |
생계급여 탈수급 | 탈수급 비율 8.6% (기존 0.2% 대비 약 40배 상승) |
복지 의존 감소 | 근로 의욕 증대 및 자립 기여 |
✅ 포인트:
- 단순히 돈을 주는 것이 아닌,
- 자립 의욕을 강화하고,
- 실제 탈수급(복지 졸업)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.
4. 전국 확대 시 예상 효과와 재원
정부와 연구기관은 이 정책을 전국으로 확대할 경우를 분석했습니다.
적용 범위 | 대상 가구 | 연간 필요 재원 |
중위소득 65% 이하 | 약 594만 가구 | 약 13조 원 |
중위소득 85% 이하 | 약 653만 가구 | 약 36조 원 |
✅ 특징
- 전 국민에게 지급하는 기본소득보다 훨씬 적은 예산으로
- 소득 하위계층에게는 월 40만 원~100만 원 지급 가능
- 이재명 대표가 주장한 기본소득(51조 원) 보다 재정 부담이 낮음
5. 기존 복지와 다른 점 – 선제적 지원 & 신청주의 폐지
기존 복지 정책은 대부분 신청주의로 운영됩니다. 즉, 내가 신청하지 않으면 지원을 받을 수 없습니다.
하지만 이번 소득보장제도는
👉 자동으로 지급 대상자 선별
👉 빈곤 상태에 빠지기 전에 선제적 지원
👉 행정 절차의 복잡성을 줄여 실질적인 지원 강화
✅ 사후 보전이 아닌 사전 예방형 복지
✅ 복지 사각지대 해소 효과 기대
6. 전국 확대 시, 저소득층의 삶은 어떻게 달라질까?
- 최저 생활비조차 버거운 가구는 월 40만~100만 원의 추가 소득 확보
- 중산층 이하도 실질적인 소득 보전 효과
- 근로 의욕 증가
- 생계급여 탈수급
- 빈곤층 자립 가능성 증가
단순히 소액을 전국민에게 나누어주는 복지보다 실질적인 소득 보장을 통해 소득불평등 완화와 경제적 자립을 동시에 도울 수 있는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
7. 결론 – 더 나은 복지는 맞춤형으로
전국민에게 월 8만 원을 나눠주는 복지 정책이 아닌, 실제 가장 필요한 가구에게 더 많은 금액을 지원하는 복지. 바로 이것이 현재 서울에서 시범운영 중인 하후상박형 소득보장 정책의 핵심입니다.
- 재정 부담은 줄이면서도
- 실질적 효과는 극대화
- 빈곤층의 근로 의욕 고취
- 빈곤 사각지대 해소 가능
이 정책이 전국으로 확산된다면 수백만 가구가 현실적인 소득 보장을 받을 수 있고, 복지 패러다임 자체가 변화하게 될 것입니다.